본문 바로가기

정보

연구설계: 관찰연구

안녕하세요 나른한 오후네요

연구설계 방법 중에 조사연구와 실험 연구를 적어보았는데요

요즘 많이 사용되고있지는 않지만 관찰연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연구설계 : 조사연구 (tistory.com)

연구설계: 실험연구 (tistory.com)

1. 관찰연구

관찰자의 관찰에 의하여 연구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연구로 관찰대상이 다수이고 관찰내용이 양화되어 분석되면 양적 연구가 되고 관찰대상이 소수이고 관찰내용이 기록에 의한다면 질적 연구가 된다

 

2. 연구유형

 

1) 관찰의 통제여부: 통제적 관찰/ 비통제적 관찰

 

2) 관찰의 조직성 여부: 자연관찰/ 조직적 관찰

 

3) 연구 참여 여부: 참여관찰/ 비참여 관찰

 

3. 연구절차

 

1)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가설을 수립한다

 

2) 관찰대상을 설정한다

 

3) 관찰내용과 자료수집 방법을 규명한다

 

4) 관찰자들을 훈련시킨다

 

5) 사전 연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6) 관찰자 내와 관찰자 간 신뢰도를 분석한다

 

7) 관찰의 불일치 분석 등을 통하여 관찰내용과 기록방법, 자료화 등을 설정한다

 

8) 관찰자 훈련을 실시한다

 

9) 관찰대상의 관찰 허가가 요구되는 경우 허락을 얻는다

 

10) 관찰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11) 관찰자 내, 관찰자 간 신뢰도를 검증한다

 

12) 자료를 분석한다

 

4. 연구의 장단점

 

-장점: 질문지나 표준화 검사에서 측정할 수 없는 개인의 내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단점: 관찰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 상황이 변화된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5. 연구 시 주의점

관찰 절차를 체계적으로 자세하게 하여야 하고, 관찰자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관찰자 간 신뢰도를 검증해야 하며 관찰 상황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성태제(2011). 연구방법론. 학지사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의 주요 기법들  (0) 2022.03.21
집단상담 방법  (0) 2022.03.20
집단상담의 집단유형  (0) 2022.03.19
연구설계: 실험연구  (0) 2022.03.19
가족상담 이야기치료  (0) 2022.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