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wlby

애착이론: Mary Main Mary Main □Bowlby ▶애착 관련 두 가지 주요 명제 제시 º애착은 생물학적 기반을 가지며, 절대적으로 근본적인 행동/ 동기 체계이다 º애착 체계의 기능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는 '내적 작동 모델'과 뒤얽혀 있다 □Ainsworth ▶Bowlby의 명제 중 애착의 행동적 측면에 초점 □Main ▶Bowlby의 명제 중 애착체계의 인지적 측면, 즉 내적 작동 모델에 초점 □내적 작동모델 ▶유래 ºJean Piaget: 물리적인 세계와 그것에 미치는 자신의 영향력에 대한 지식-내면에서 '도식'으로 저장되는 지식-이 된다고 주장 ▶Bowlby º유아가 양육자와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상호작용이 작동 모델로서 내면에 저장되는 대인간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형성 º 이미 반복해서 발생한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패턴.. 더보기
애착이론의 기초: Bowlby Bowlby와 Ainsworth의 관계 ºBowlby : 애착 이론의 아버지 ºAinsworth: 애착 이론의 어머니 ºRichard Bowlby(2004) "Ainsworth가 없었다면 아버지는 그림자 같은 존재였을 것이고, (그러나) 아버지가 없었다면 Ainsworth는 별 볼일 없는 존재였을 것" Bowlby: 근접과 보호 및 분리 ▶Bowlby의 중요한 기여 º아이가 양육자에게 애착하는 행동이 생물학적 진화에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 º동기 체계로서 애착의 근본적 속성은 양육자와 물리적인 근접성을 유지하려는 유아의 절대적인 필요에 기초한 것 º애착은 단지 정서적 안전증진뿐 아니라 문자 그대로 유아의 생존을 확보하기 위한 것 ▶애착 행동체계 º생존과 재생산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진화에 의해 고안.. 더보기
현대상담이론: 애착과 변화1 애착과 변화 관점 ■애착의 중요성과 두 번째 기회 º애착관계는 인간발달에 핵심적 맥락(Bowlby) º초기 관계에 문제가 있었다면 두 번째 기회 제공 º상담의 기능과 책무 º애착 이론으로부터 발전시킨 상담이론 vs 관계없는 기법, 중립적 태도, '전문적' 태도 º관계는 변화와 발달을 유발, 촉진한다 ■초기 애착경험의 중요성 º언어 습득 이전의 경험이 자기의 핵심 구성 º애착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우리가 경험하는 최초 관계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받고 형성됨 vs 언어적 전달, 언어적 경험 º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 ■개선 가능성 º경험에 대한 태도가 애착의 안정성을 예측 º초기 관계에 문제가 있었다면, 두 번째 기회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음 vs 개인의 과거사 사실 그 자체 º경험에 대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