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y Ainsworth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착이론: Mary Main Mary Main □Bowlby ▶애착 관련 두 가지 주요 명제 제시 º애착은 생물학적 기반을 가지며, 절대적으로 근본적인 행동/ 동기 체계이다 º애착 체계의 기능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는 '내적 작동 모델'과 뒤얽혀 있다 □Ainsworth ▶Bowlby의 명제 중 애착의 행동적 측면에 초점 □Main ▶Bowlby의 명제 중 애착체계의 인지적 측면, 즉 내적 작동 모델에 초점 □내적 작동모델 ▶유래 ºJean Piaget: 물리적인 세계와 그것에 미치는 자신의 영향력에 대한 지식-내면에서 '도식'으로 저장되는 지식-이 된다고 주장 ▶Bowlby º유아가 양육자와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상호작용이 작동 모델로서 내면에 저장되는 대인간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형성 º 이미 반복해서 발생한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패턴.. 더보기 애착이론의 기초: Mary Ainsworth 2 Mary Ainsworth: 애착, 의사소통, '낯선 상황' ■유아기 애착 유형: 안정애착 □ 충동에 균등하게 접촉 º 안전할 때는 탐험, 위험할 때는 관계를 통해 위안을 얻으려는 시도 □ 관계에서의 탄력성 º분리로 인해 심한 고통이 있어도 재회 때 즉시 안심 º유아가 보내는 신호와 의사소통에 반응을 보인 민감한 엄마와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임 º'그만하면 좋은' 방식: 잘못된 조율보다 민감성을, 거절보다는 수용을, 통제보다는 협동을, 냉담함보다는 감정적 함께함을 제공 ■유아기 애착 유형: 회피형 애착 □엄마가 떠나든 돌아오든 무신경, 태연하게 탐험 º심장박동은 안정도니 유아 수준과 동일 º토르 티 졸은 안정된 유아에 비해 상승 □부모가 장기간 떨어져 있어야 했던 2,3세 아기들의 거리두기와 유사한 방어.. 더보기 애착이론의 기초: Mary Ainsworth 1 Mary Ainsworth 애착, 의사소통, '낯선 상황' ■가장 중요한 발견 ▷선천적이고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 애착 체계가 실제로 영향받을 수 있다는 점을 발견: plastcity ▷개인의 애착체계의 질적인 차이는 양육자의 행동에 좌우 ▷유아와 성인기 애착 양식의 분류 연구로 발전 ■연구요약 ▷안정애착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은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 확인 ▷불안정 애착의 다양한 유형 확인 ▷안정, 불안정의 핵심은 유아와 양육자 간의 의사소통 패턴 ▷'안전 기지'라는 개념 개발, 확장 º근접성 외에 유아가 양육자에 대해 갖는 기대(예상)의 영향력도 중시 º기대는 Bowlby의 '내적 작동 모델'이라 불렀던 정신적 지도나 표상에 의해 형성됨 ■연구방법 ▷낯선 상황(strange situation) 연구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