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형성 과정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애착관계의 자기 형성 과정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 협력적인 의사소동 □ 양육자는 아동에게 즉발적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발판을 제공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함 □ 자신과 타인에 대한 아이의 감각이 발달적으로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시기에서, 양육자는 적극적으로 아동과 함께 하며, 한계를 설정하고 아동이 저항하도록 허용. 아동이 분리 감을 느끼는 동안에도 양육자와 연결되어 있는 경험을 하게 됨 ■ 수반적 의사소통 □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반응이 아동의 감정 경험과 일치하거나 맞아떨어지고 공명하는 의사소통 □ 아동이 상대방에게 자신이 '느껴졌다고 느끼게' 해주는 것 □정서 조율: 아동의 감정적인 경험을 공명해주지만, 결정적으로는 아동의 표현과는 다른 감각 양식을 .. 더보기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정서조절과 애착전략 애착관계의 자기 형성 과정 ■ 적응 전략 □ 의미: 애착 대상과 근접성을 유지함으로써 얻게 되는 보호를 확보하기 위해 유아들이 발달시키는 다양한 방법 □ 목표: 보호의 확보, 생존확률의 확보, 안정의 느낌 □ 방법: 스스로 안정감을 만들 수 없으므로, 감당하기 어려운 감정을 다루는 것을 도와줄 애착 대상이 필요 ■ 상담자의 역할 □ 사고측면: 내담자의 부모가 생각하지 못했게 했거나 금지시켰던 것들을 내담자가 생각하도록 허용해주는 것 □ 감정측면: 부모가 경험하지 못하게 했거나 금지시켰던 느낌들을 내담자가 경험하도록 허용해주는 것 □ 행동측면: 부모가 꾀하지 못하게 금지시켰던 행동들을 내담자가 고려해보도록 허용해주는 것 ■ 요약 □ 상담자의 역할은 통합을 촉진하고, 대체로 감정적인 발달에서부터 시작되는 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