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썸네일형 리스트형 (심리치료에서 애착유형) 집착형 환자: 자신의 마음을 위한 자리 만들기 집착형 환자는 무시형 내담자와 정반대의 모습이다. 활기차고 생기 있어 보이며 자기감정에 의해 압도되고 타인과의 거리감을 피하는 일에 열중한다. 자기에 대한 회의로 가득 차고 너무 독립적이 될까 봐 두려워한다. 무시형은 타인에게 의지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대처할 수 있지만 느끼지 못한다. 집착형은 자기 자신에게 의지할 수 있음을 믿기 어려워하며 느끼지만 (그리고 사람을 끌 수 있지만) 대처하지 못한다. 히스테리-경계선이라는 양극단적 진단의 연속선 상에 있으며 히스테리는 압도되고 무력해 보이지만 피상적으로 협조적, 유혹적이다. 경계선은 화를 내고 요구가 많으며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모두 유기를 두려워해서 발생하는데 융합을 갈망한다. 애착 대상은 반응을 예측할 수 없는 대상과의 초기 경험으로 타인의 관심과 지지.. 더보기 애착과 자기의 발달 현대 상담이론 애착과 심리치료: 애착과 자기의 발달 □ 도가니 ■ 자기는 아이가 경험하는 최초의 관계라는 도가니에서 형성 □ 초기 발달 ■ '관계라는 도가니' 속에서 애착 대상의 유무에 따라 경험되는 정서 경험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움 ■ 엄마는 자신의 유무로 인해 아이가 내적으로 경험하는 불편한 경험을 처리하도록 도움 ■ 돕기 위해 엄마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애착 이론: 성찰(정신화, 마음 챙김) -대상관계 이론: 버티기, 담아내기, 거울 되기 등 □ (자연적) 후기 발달 ■ 후기 발달의 경로는 초기 발달 시기에 아동이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던( 또는 배우지 못했던) 방식에 의해 좌우 ■ 자연적 후기 발달 경로(즉 개입이 없을 때 발달 경로)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이 습관(틀)으로.. 더보기 상담의 주요 기법들 안녕하세요^^ 나른한 오후네요 오늘은 상담의 주요 기법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상담의 주요 기법들 *공감적 이해 감정이입, 함께 느끼기 내담자가 자신을 자연스럽게, 깊이 탐색하고 자신을 이해하고 있도록 하는 것 *경청 귀 기울여 있는 그대로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 *반영 내담자가 한 말이나 행동에 나타난 주요한 감정, 정서적인 부분을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하는 것 *재진술 내담자가 한 말이나 행동에 나타난 주요한 내용(지적인 부분)을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하는 것 *명료화(구체화)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과 느낌을 나눌 때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도록 유도하는 것. 예) "반 아이들이 제 마음을 상하게 해요. 학교 가기 싫어요. 차라리 사라져 버리고 싶을 때가 있어요"라고 말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