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정신화, 마음챙김 정신화 정신화는 특정 경험에 대해 다중적인 관점을 갖도록 하여 기존의 내적 작동 모델이 갱신되고 습관화된 양식이 '탈 자동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유연성을 위한 잠재력을 만들어 내며 외양과 현실을 구분하게 한다. (현상은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은 같은 현실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표상의 다양성),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점은 시간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것을 알게 된다(표상의 변화). 마음 챙김 마음 챙김은 바로 여기에, 바로 지금이 되는 것이다. 주어진 순간에 온전히 존재하고, 일어나는 모든 경험에 대해 수용적이지만 경험의 어떤 특정한 측면에 사로잡히지 않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경험을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 더보기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매몰, 정신화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 경험에 대해 경험에 매몰되거나 혹은 경험으로부터 방어적으로 해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되게 성찰하는 능력이 우리 자신의 애착 안정성과 또한 우리가 안정적이 될 내담자를 양육할 능력 두 가지 다를 나타내 주는 표지임 ■ '성찰적 혹은 '정신화적' 태도는 일관된 자기와 관련 ■ 일관된 자기 □ 모순으로 가득 찬 상태가 아니라 이해가 가능하고 □ 해리와 부인에 의해 파편화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전체로 존재 □ 타인의 자기와 협력할 수 있는 자기를 의미 □ 매몰 ■ 경험이 지속되는 한, 마치 우리가 그 경험인 것 같음 ■ 특정 순간에 지각하고 느끼며 믿는 것이 무엇이든 우리는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임 ■ 현실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는 신체 감각..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