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상관계이론

대상관계이론: 성장의 필요조건 성장의 필요조건 ▶유아 초기의 전능성 경험 -유아 초기에 모든 것이 만족되면서 경험하는 전능하다는 느낌 -모성적 몰두, 환각의 순간 -발달상 '융합'과 '공생관계'에서 경험 가능 ▶괜찮은 엄마, 괜찮은 환경 -지나치게 완벽하지도 않고 적절히 좌절을 주는 엄마나 환경 ▶버티는 환경 의존 상태의 유아가 필요로 하는 촉진적 환경을 만들어주는 모성적 돌봄 ▶담아내기 감정을 그대로 담아주는 반응 ▶안전한 기지 -Mahler의 발달 2단계(분리-개별화 단계)에서 아동이 멀리 나갔다가 돌아오는 곳 -정서적 재충전을 함 ▶적절한 좌절 경험 -대상관계의 내면화를 위해 필요 -결핍 시 대상관계(변형적) 내면화 실패-> 병리 ▶변형적 내면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자기 대상이 점점 아동의 욕구에 덜 반응해줌으로써 자기 대상관계..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의 대상2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의 대상에서 중간 대상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대상관계이론의 대상: 중간 대상(transitional object) ▶중간 대상 -내부 대상이나 주관적 대상이 아니면서, 단순히 외부에 실재하기만 하는 것도 아닌 대상 (예: 곰 인형, 담요, 이불자락 등) -자기도 아니고 대상도 아니면서 양쪽의 특성을 다 가지고 있는 대상 -유아는 독특한 의미를 부여하며 애착관계 형성 -재 접근 단계에서 선호됨 ▶ 중간 현상/ 중간 공간(transitional phenomena/ space) -중간 대상의 생성, 발달 등 관련 현상을 포괄하는 개념 -분리불안 감당, 현실 원리 수용 위해 중간 현상 이용 -중간 현상이 발생하는 심리적, 물리적 공간 -노래, 자장가, 몸짓, 습관적 태도 ..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의 대상1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대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그중에서 외부 대상, 내부 대상, 부분대상, 전체대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외부대상 vs 내부대상 ▶ 외부 대상(external object)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실제 사람, 사물 ▶ 내부 대상(internal object) -정신적 표상, 이미지, 환상, 대상에 대한 느낌, 기억, 아이디어 -내적 표상의 형태로 존재 ▶ 외부 대상과 내부 대상의 상호관계 -외부 대상에 대한 기억이 내부 대상 형성 -내부 대상의 특성이 외부 대상 선택에 영향 ● 부분 대상 vs 전체 대상 ▶부분 대상(part object) 대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표상 ▶전체 대상(whole object) 대상의 전체 모습에 대한 표상 ▶신체적 의미 부..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에서의 자기, 자아, 대상의 의미 안녕하세요^^ 아이를 기르다 보니 대상관계 이론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네요 이번에는 대상관계이론에서의 자기, 자아, 대상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기(self) - '당신은 누구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나의 의미 - '나'라는 사람과 관련된 의식적, 무의식적 정신적 표상 - 인격의 핵심부분 - 주도성의 중심, 개인의 야망, 이상, 재능의 저장고 - 자기 표상은 사적인 개념 자아(ego) - 자기 표상과 대상 표상의 관계를 조정하는 기능 - 주관적으로는 경험 불가 - 일련의 기능 내포 - 성격의 조직체나 자기가 아닌 조직하는 기능 예) 자동차의 엔진은 self, 엔진이 하는 작용이나 기능이 ego 대상(object) *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의미 -Freud가 "Three essays..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의 역동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의 토대는 역동과 자기, 대상인데요 역동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대상관계 이론의 역동: 기본 욕구(바람과 소망), 두려움 역동: 기본욕구(바램과 소망) 무의식과 의식의 이해 -고전적 이해 무의식: 억압에 의해 숨겨진 정신적 역동 의식: 무의식의 내부에 숨겨지지 않은 내용 -현대적 이해 무의식: 진화를 통해 습득된 정신, 신체적 역동/ 몸이 먼저 반응/ 의식 외적 정보처리 의식: 언어, 사고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미분화된 경험을 분화시킨 것. 의식 상의 정보처리 무의식과 의식의 특성 -무의식: 매우 빠르고 자동적인 판단. 진화를 통해 습득하며 언어 이전의 상태 -의식: 무의식에 비해 느리고 의식적 판단, 학습을 통해 습득, 언어로 기술 가능한 상태 무의식의 의식화 -고..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의 뿌리와 배경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면서 대상관계에 대한 관심도 많아져서 공부해보았어요 대상관계 이론의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정신분석이론의 변천 @ 인간행동의 동기에 대한 관점 생물학적 동기-> 관계 추구 동기 @ 인간행동의 추동 - Freud는 창조성과 파괴성의 공존과 갈등의 결과로 봄 -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조화로운 삶에 대한 소망 추구 결과로 봄 @ 성격구조에 대한 관점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에서 경험의 흔적(표상, 내면화) @ 주요관심 발달단계 5세( 또는 청소년 )까지-> Pre-oedipal(3세)까지 Drive(Freud) *기본욕구는 성욕과 공격성 *추동으로 인한 불안과 처리 문제가 발생한다고 봄 * 내적 갈등을 수습하기 위한 정신구조에서 방어기제가 나온다고 봄 Ego(A. Freu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