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주관성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비언어적 경험과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 □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 실연(enactment) □ 상담자와 내담자가 유아일 때 애착 인물과 함께 '실연했던'것에 최초의(하지만 유일하지는 않은) 뿌리를 두는 암묵적인 관계 지식이 지금-여기에서 행동적으로 표출되는 것 º 위안을 구하는 최초의 몸짓이 일관되게 환영받았다면 아마도 우리는 우리의 불편함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타인에게 의지하는 것의 이점을 배웠을 것 º 반면 이런 몸짓이 거부를 불러왔을 경우, 아마도 우리는 가능하면 우리의 불편함을 타인에게 숨겨야 할 필요성을 배웠을 것 □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런 근원적인 배움은 실연되면서 학습됨. 즉 기억되고 표상되고 내면화됨 □ 암묵적으.. 더보기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애착관계의 자기 형성 과정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 협력적인 의사소동 □ 양육자는 아동에게 즉발적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 능력을 위한 '발판을 제공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함 □ 자신과 타인에 대한 아이의 감각이 발달적으로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시기에서, 양육자는 적극적으로 아동과 함께 하며, 한계를 설정하고 아동이 저항하도록 허용. 아동이 분리 감을 느끼는 동안에도 양육자와 연결되어 있는 경험을 하게 됨 ■ 수반적 의사소통 □ 아동에 대한 양육자의 반응이 아동의 감정 경험과 일치하거나 맞아떨어지고 공명하는 의사소통 □ 아동이 상대방에게 자신이 '느껴졌다고 느끼게' 해주는 것 □정서 조율: 아동의 감정적인 경험을 공명해주지만, 결정적으로는 아동의 표현과는 다른 감각 양식을 .. 더보기 애착이론 Fonagy와 그 이후: 애착에서 상호주관성으로 Fonagy와 그 이후 □애착에서 상호 주관성으로 ■ 의미: 일치된 견해는 없음 º 두 개의 주관성 간 상호작용 ■ 타고난 상호 주관성 º 신경학적으로 내장된 것(cf. 거울 뉴런) ■ 특징 º 상호적으로 조절된 의사소통 º 즉각적 공감적 접촉 -이는 아이가 생래적으로 가족 있는 수반되는 효과를 감지하는 능력에 기반 -상대편의 행동이 자신의 행동에 수반(또는 수반되지 않는) 것인지, 그 반대인지를 인식하는 능력에 기반 ■ 수반성은 '원형적 대화', 행위 대화를 통해서도 가능 º 원형적 대화: 타인의 행동뿐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내적 상태, 즉 동기와 의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는 정교한 상호조정 ■상호 주관적 경험의 본질 º 의도, 느낌, 주의의 초점을 공유하는 행위(Stern) ■ 애착과 정신..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