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형 애착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양한 애착 경험 다양한 애착 경험 ■ 최초 애착관계는 마음속 청사진의 원형을 제공 ■ 암묵적 실연적 표상의 수준, 즉 내적 작동 모델에서는 미디어가 곧 메시지다 ■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전달 가운데 부모로부터 조율된 반응을 이끌어내는 행동은 어떤 것이든 용인되고, 부모로부터 혐오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혹은 인식되지 않은 채 넘어가는) 행동은 배제된다 ■ 애착패턴의 안정성 º 12개월 때 낯선 상황 실험에서 분류되었던 안정 대 불안정 패턴이 성인기에 실시한 성인 애착 면접에 의한 분류와 68-75% 일치 º 그러나 이것은 큰 의미 없음 ■ 네 가지의 주요 마음 상태 º 안정된/ 자율적인 애착 º 회피형/ 무시형 애착 º 양가형/ 집착형 애착 º 혼란된/ 미해결형 애착 □ 안정된/ 자율적인 애착 ■ 특성 º 엄마 가까이 머.. 더보기 Mary Main: 내적 작동모델의 재 개념화 Mary Main: 정신적 표상, 메타인지, 성인애착 면접 □내적 작동 모델의 재 개념화 ▶재 개념화하게 된 계기: 연구방법의 변화 ▷'낯선 상황' 실험에서 '성인애착 면접'으로 º참여자들에게 상실, 거절, 분리를 포함하여 그들의 부모와의 관계 내력을 회상, 성찰하게 함 º'무의식을 놀라게' 하거나 애착체계를 '자극'하는 질문 º특정 관계에 속한 애착의 질을 파악하는 '낯선 상황'실험보다 특정한 관계에 국한되지 않는 '애착과 관련된 마음 상태'를 평가 º즉, 성격특성보다 특정 관계를 확인하는 방법에서부터 성격특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전환 º반응 내용이나 사용된 언어보다 반응의 과정 및 형식을 평가 º응답자들이 '무엇을' 전달하는가 보다 '어떻게' 전달하는가에 유의 => 무의식(의식 외적 정보처리)에 접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