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상

Mary Main: 애착패턴의 세대 간 전이, 메타인지 Mary Main 애착 패턴의 세대 간 전이 ■애착 패턴은 세대 간에 걸쳐 지속되는 강한 경향 ■안정애착 □ 안정된 부모는 행동과 정서의 범위가 넓고 자신의 주의를 기울이는데 거리낄 것이 거의 없기에 유아가 보내는 신호에 민감한 반응성을 보임=> 유아의 안정성 생성에 핵심적 역할 ■불안정 애착 □부모와 함께하기를 바라는 최우선적인 욕구와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이런 마음을 건드리는 어떤 것도 그들에게 위협이 됨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조율되지 않게 반응하도록 만드는 규칙들을 통해 이런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 □회피형 유아: 애착 행동을 최소화하고, 사람을 제외한 환경의 탐험을 최대화 □집착형 유아: 애착행동을 최대화하고 자율적인 탐험을 최소화 메타인지 ■의미: 생각하기에 대해 생각하기와 표.. 더보기
현대상담이론: 애착과 변화3 애착과 변화 경험에 대한 태도: 표상, 성찰, 마음 챙김 2 ■'마음을 챙기는 자'로 향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4개의 동심원 º외적 현실 º표상적 세계 º성찰적 자기 º마음 챙김의 자기 ■외적 현실 º 우리에게 일어나는 사건 º 우리가 함께 만들어 내는 상황 º우리가 관여하는 사람을 포함 ■표상적 세계 º이전 경험에 대해 우리가 갖고 있는 정신적 모델 º우리가 새로운 순간마다 이미 고안된 것을 재 발명하지 않도록 함 º현실 적응을 안내 º과거와 현재에 대한 우리의 해석을 결정 º미래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형성 ■성찰적 자기 º내적 작동 모델을 포함한 표상:외적 현실에 대한 우리 경험을 중재하거나 걸려내는 기능을 가짐 º 그러나 어디까지나 표상일 뿐이며 주관적 세계임 º성찰적 자기가 있으면 -표상이라는 주관.. 더보기
현대싱담이론: 애착과 변화2 애착과 변화 경험에 대한 태도: 표상, 성찰, 마음 챙김 1 ■(감정적인) 반사적 반응 º경험의 즉시적 '현실'에 압도되어 반응 º'정신화' 불가능 º최초 관계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형성됨(애착 이론) º유형 -자신의 경험이 끼친 영향을 최소화 -자신의 경험을 부정하거나 무시 -그 경험에 의해 압도당하거나 또는 집착 ■성찰적 태도(반응) º안정애착은 성찰적 태도와 분명히 관련됨 º경험의 즉시적인 '현실'에서 뒤로 물러나 그것의 저변에 있는 정신상태의 관점에서 반응 º 즉 '정신화' 가능 º최초 관계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감정적, 반사적 반응에 불가항력으로 사로잡히게 될 가능성 감소 -자신의 과거 경험이 미친 영향을 억지로 최소화, 부정, 무시하는 현상 감소 -그 경험에 의해 압도되거나 또는 집착하는 ..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3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대상 중에서 자기 대상과 표상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기 대상(self-object) -성숙하면 스스로 담당하게 될 정신구조의 기능을 유아시절에 대신 맡아해주는 대상 -대상이 자기와 분리된 존재로 경험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하이픈(-) 삭제 -자기 대상의 종류 ① 반영적 자기 대상(mirroring self-object) ② 이상적 자기 대상(idealized self-object) ③ 동반적 자기 대상(twin self-object) -정신적 산소 ●표상(representation) -주체의 외부세계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소 모두 포함 -일차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의존하던 사람과 맺었던 관계의 잔재 -개인의 행동이 가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