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표상

심리적 기제: 투사 투 사 ▶특정 자기 표상, 자기의 원하지 않는 측면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는 것 ▶Klein: 투사의 시작. 세상에 대한 fantasy -출생 이후의 삶을 파괴하고자 하는 충동(태어난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본능) -내면에서 파괴에 대한 두려움 느낌=> 이런 소멸 충동을 자기에게서 거리를 두면서 외부라고 지각되는 것으로 돌려야 할 필요성=> 세상은 나쁜 것으로 변함(반대로 삶의 본능에서 비롯되는 선함과 사랑을 투사하여 잠재적으로 적대적일 수도 있는 세상을 온화하게 만들려는 보상적 욕구도 있음) ▶투사는 자아의 분화, 개별화 기능과 함께 발생 개별화 과정에서 아이가 자신이 아닌 것에 대한 감각을 가질 수 있을 때 가능 ▶ '적극적이고 선택적인 형태'의 자기-대상 혼동 자기내면의 불쾌감을 외부세계나 내..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관계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대상 중에 대상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대상: 대상관계 ▶대상관계 -주체인 개인이 특정한 양식(주로 정서적 valence로 표현)으로 대상과 맺는 관계 -Self => love ( or hate ) => Object -Self => love ( or hate ) => Self ▶대상관계이론 성격이론으로서 자기 표상과 어머니로 대표되는 타인 표상 간의 관계 특질에 대한 설명 체계 발달 (Mahler중심) -건강한 발달: 건강한 자기애/ 자기 형성 분리개별롸/대상 항상성/Mahler의 발달이론 발달에 대한 이해와 상담 -건강한 사람: 자기 형성/개별화/대상 항상성/상담에서 온전한 대상관계 발달 -병리적 발달: 애착과 개별화의 불균형 ▶건강한 발달 -Kohut .. 더보기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3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대상 중에서 자기 대상과 표상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기 대상(self-object) -성숙하면 스스로 담당하게 될 정신구조의 기능을 유아시절에 대신 맡아해주는 대상 -대상이 자기와 분리된 존재로 경험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하이픈(-) 삭제 -자기 대상의 종류 ① 반영적 자기 대상(mirroring self-object) ② 이상적 자기 대상(idealized self-object) ③ 동반적 자기 대상(twin self-object) -정신적 산소 ●표상(representation) -주체의 외부세계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소 모두 포함 -일차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의존하던 사람과 맺었던 관계의 잔재 -개인의 행동이 가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