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연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언어적 영역1: 불러일으켜지고 실연된 측면 다루기 고급 상담 이론 애착과 심리치료 임상적 초점 선명히 하기 애착 이론/관계가 상담에 제공하는 기여는 교정적 경험의 직접 제공을 기능하고 발달을 촉진하는 맥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였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안전 기지를 제공하고 그 자체로 치유적인 교정적 관계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애착의 유대는 핵심적 치료적 개입이다. 해리된 부분들의 통합을 촉진하는 맥락을 제공하고, 성찰 및 마음 챙김의 잠재력을 촉진하는 맥락을 제공한다. 비언어적 영역1: 불러일으켜지고 실연된 측면 다루기 애착 지향적 심리치료에서 상담자의 역할 내담자의 발달에 영향을 준 원래의 관계들보다 더 조율되고 포괄적이며 협력적인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주요 경험이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유 언어습득 이전의 경험이며 표현할 말을 갖고 있지 않은.. 더보기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비언어적 경험과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 □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 실연(enactment) □ 상담자와 내담자가 유아일 때 애착 인물과 함께 '실연했던'것에 최초의(하지만 유일하지는 않은) 뿌리를 두는 암묵적인 관계 지식이 지금-여기에서 행동적으로 표출되는 것 º 위안을 구하는 최초의 몸짓이 일관되게 환영받았다면 아마도 우리는 우리의 불편함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타인에게 의지하는 것의 이점을 배웠을 것 º 반면 이런 몸짓이 거부를 불러왔을 경우, 아마도 우리는 가능하면 우리의 불편함을 타인에게 숨겨야 할 필요성을 배웠을 것 □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런 근원적인 배움은 실연되면서 학습됨. 즉 기억되고 표상되고 내면화됨 □ 암묵적으.. 더보기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비언어적 언어 이해하기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 비언어적 언어 이해하기 ■ 상담에서 말은 □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흐름 위에서 떠돈다 □ 말로 표현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 표현되는 정도의 깊이는 상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표면 아래에 º 흐르는 감정과 관계의 흐름에 의해 결정된다 ■ 상담에서 비 언어적 언어 □ 표정, 음식, 자세, 몸짓, 말과 행동의 리듬, 개략적인 형태 등을 의미 □ '변연계 간의 대화' □ 대화의 주제 유아의 내적 상태, 즉 감정과 의도( 감정과 의도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 □ 내적 상태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배우는 것 º 자신과 타인/ 자신의 감정과 의도/ 타인이 자신의 감정과 의도를 인식하고 맞추어 줄지 여부/ 혼자 또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내적 상태에 영향을 주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