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대상관계의 발달2

안녕하세요^^

지난번 대상관계의 발달단계에 대해 적어보았는데요

이어서 분리-개별화 단계부터 알아보도록 할게요

대상관계의 발달 1 (tistory.com)

□분리-개별화 단계

▶부화 단계(6-10개월)

-유아가 생후 5개월이나 6개월이 될 무렵 공생은 분리-개별화 단계의 지각과 혼합

-부화과정의 생물학적 의미: 감각 중추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의식 체계의 발달과정

-운동 기술의 발달

-'깨어있음과 집요함과 목표지향성'을 보임

-공생 궤도 내부에 집중해 있던 유아의 관심이 점차 외부로 확장

 

º부화 단계의 특징

-모의 품에 몸을 맡기던 공생 단계와 대조

-모의 머리, 귀, 코 등을 잡아당김

-모의 입에 음식을 넣음

-모의 모습을 더 잘 봄

-모의 주위 환경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자신의 몸을 꼿꼿이 함

-부드럽고 유연한 물건에서 쾌감

-부모와 다른 타인에 대해 점점 높은 관심

-모보다 더 타인 같은 부(높은 궤도)

-되돌아 점검하는 행동양식

-낯선 사람에 대한 반응

 불안보다는 관심이 많아짐을 강조

 

º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지나친 탐색으로 인한 모의 짜증

-공생 단계의 상실에 대한 모의 상실감

-모의 외로움 가종(병리적 모)

-임신의 욕구 가중

-가까이 함과 거리 둠 간의 혼란

 

▶연습 단계(10-16개월)

-무릎에서 놀기, 기기, 엎드려 기어 다니기 등에서 벗어나 걷는 것에 매료

-어머니에 대한 관심-> 어머니가 제공한 대상(담요, 잠옷, 우유병, 장난감)으로 확산

-중간 대상이 선택될 수 있음

-떨어짐과 되돌아 봄의 반복. 안전 기지 제공

 

º보행 시작: 자기 세계의 위대성, 자기 능력에 도취

              자기애의 정점

 

º까궁 놀이 시작: 부모를 사라지거나 나타나게 할 수 있는 능력

 

º잡기 놀이: 모의 삼킴과 융합으로부터의 의기양양한 탈출

 

º 건강한 모의 반응: 정서적 재충전. 유아의 발달에 대한 기쁨. 지나치게 의기양양한 상태에 대한 불안.

                         정서적 접촉 유지하면서 유아의 분리 노력 추구

 

º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분리의 고통을 피하려고 일부러 밀어냄

                             모의 필요에 따른 안아주기

 

▶재 접근 단계(16-24개월)

º모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 증가

예: 찾기, 관심 끌기, 환심 사기, 떠나기 등 

 

º혼자라는 것에 대한 인식 증가: 자기가 원하는 것이 항상 모가 원하는 것이 아님을 자각

                                         모에 대한 무관심 약화. 모의 사랑에 대한 요구 증가. 불리 분 안 증가

 

º동시에 자기 능력의 한계 인식 증가

-마술적 힘의 상실 경험-> 과대성 잠식

-실패 인식 기억하는 인지능력 발달-> 전능 감 붕괴

-무력감에 대한 분노 폭발 경험

 

º정서적 동요는 분열의 패턴을 취함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 이미지 발전

 

º중간 대상에 대한 애착 증가

-'내 것'의 주장

-담요, 인형에 대한 애착

-의례의 발달: 책 읽기, 노래 등

 

º친밀성/ 자율성 간의 갈등 감소

-정서적 불안에서 성실에 대한 슬픔과 실망으로 진행

 

º분리에 대한 감각 증가

-대상 항상성 형성

-대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수용

-부모의 규칙 내면화

-분리 감 유지한 상태에서 대상의 특성 수용능력 발달. 성정 체감도 형성

 

º유의할 점

-침해하지 않으면서 위험한 행동 억제 필요

-거부하지 않으면서 분리 지지 필요

-모의 정서적 가용성 필요

-가까이 오면 보상/ 독립성을 보이면 위협

-완벽할 필요는 없음

 

□대상 항상성 단계(24-36개월)

º과제의 이중성

-일생 동안 지속되는 명확한 개별화 성취

-어느 정도의 대상항상성 성취. 화가 나거나 좌절했을 때 모가 여전히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기억해내는 능력

-피아제의 대상 영속성과 구별(일정 시간 후 숨겨진 사물을 찾아 나서는 능력). 대상 영속성이 대상 항상성의 전제조건

 

º정서적 대상항상성의 확립은 긍정적으로 리비도가 지속적으로 집중된 어머니 상의 내재화에 의존

 

º애정 대상이 부재하는 동안 표상을 유지하는 것보다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을 하나의 전체적인 표상으로 통합시키는 것이 더 중요

 

º모가 없을 때 욕구나 내적 불편감이 있어도 비교적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내재화된 표상이 어머니를 부분적으로라도 대신하려면 대상 항상성 형성이 필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기제: 통합과 분화  (0) 2022.03.27
대상관계이론의 발달3  (0) 2022.03.27
대상관계의 발달1  (0) 2022.03.26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관계  (0) 2022.03.25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3  (0)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