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심리적 기제: 투사

  투 사

▶특정 자기 표상, 자기의 원하지 않는 측면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는 것

 

▶Klein: 투사의 시작. 세상에 대한 fantasy

-출생 이후의 삶을 파괴하고자 하는 충동(태어난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본능)

-내면에서 파괴에 대한 두려움 느낌=> 이런 소멸 충동을 자기에게서 거리를 두면서 외부라고 지각되는 것으로 돌려야 할 필요성=> 세상은 나쁜 것으로 변함(반대로 삶의 본능에서 비롯되는 선함과 사랑을 투사하여 잠재적으로 적대적일 수도 있는 세상을 온화하게 만들려는 보상적 욕구도 있음)

 

▶투사는 자아의 분화, 개별화 기능과 함께 발생

개별화 과정에서 아이가 자신이 아닌 것에 대한 감각을 가질 수 있을 때 가능

 

▶ '적극적이고 선택적인 형태'의 자기-대상 혼동

자기내면의 불쾌감을 외부세계나 내면적인 대상으로 옮김으로써 자기 자신을 정화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

 

▶심리적인 투사는 신체적 투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 가능

-입에 맞지 않는 음식을 내뱉는 유아의 행동; 나쁜 것을 자기 밖으로 내보내는 투사

-몸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내보내려는 것처럼 절박한 노력을 함

 

▶투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투사와 유사성이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발견

 

▶자신이 원치 않는 자질을  사람이나 사물에 전가하는데, 유사한 자질을 과장하고 왜곡

예) 누군가를 좋아하는 자신의 마음을 점심 먹자는 타인의 이야기에 전가

예) 억압했던 demanding => bad로 규정 > 자녀의 요청(유사특성)을 bad로 규정 => 비난

 

▶투사 이후 통제하려는 속성

자녀가 공부하지 않으면 힘들 것이라 생각/ 사실은 자녀가 공부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경험하게 될 열등감을 자녀에게 투사/ 자녀를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열등감을 통제하려는 시도

 

▶죄책감은 비난이나 위협의 형태로 부모에게 투사

이러한 투사는 금지적 부모 이미지를 초자아 안으로 내사하는 과정 촉진

 

▶넓은 의미에서 타인의 생각, 감정, 행동에 대한 예측은 투사기능의 일환

 

▶자신이 동일한 상황에서 겪을 경험을 타인이 겪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

 

▶긍정적 기능

-타인에 대한 이해

-공감

 

▶부정적 기능

-타인에 대한 오해, 근거없는 예측

-공격의 예상/ 두려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기제: 함입, 내사, 동일시  (0) 2022.03.29
심리적 기제: 투사적 동일시  (0) 2022.03.28
심리적 기제: 통합과 분화  (0) 2022.03.27
대상관계이론의 발달3  (0) 2022.03.27
대상관계의 발달2  (0) 202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