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입 | 내사 | 동일시 |
자기-타자 간의 분명한 경계가 발달하기 전 심리적으로 '먹는 것'을 암시 |
내면에 받아들여지고 수용되고 있는 그대로 보존되는 대상 이미지 |
내사된 대상 이미지 가운데 가치 있게 여겨지는 특성이 자기이미지로 귀속되는 것 |
함입(incorporation)
▶자기- 타자 간의 분명한 경계가 발달하기 전 심리적으로 '먹는 것'을 암시
-대상이 내부로 받아들여져 분화되지 않은 자기-타자 모체 안에서 사라짐
-2개의 세포가 만나 합쳐지는 과정과 유사한 심리적 과정
▶자기와 대상 간에는 어떤 구별도 없음
▶어머니 젖가슴에서 따뜻하고 달콤한 젖을 빨고 있는 유아( 엄마의 부분과 유아의 하나 됨)
내사(introjection)
▶통합하는 과정
▶최소한 무엇인가를 안으로 받아들일 주체, 즉 자기와 주체가 받아들일 대상이 있어야 시작
▶내사된 대상- 내면세계에서 정서적인 힘을 발휘할 만큼 충분히 생생한 내적인 대상 이미지
▶내면에 받아들여지고 수용되고 있는 그대로 보존되는 대상 이미지
▶예시: 25세, 여성 교사, 오랫동안 극심한 자기 비난으로 힘들어했고, 수년간 상담받은 환자
상담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서서히 내사
"내 안에 선생님을 받아들였어요. 무슨 환청을 듣거나 그러 건 아니라고 하지만 선생님이 때때로
긍정적인 말을 하거나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계신 것 같아요"
=> 상담자가 물리적으로 함께하지 않을 때도 내면에서 그의 존재를 경험
동일시
▶개념
-부모나 중요한 인물의 태도나 행동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닮음
-자아와 초자아 형성에 가장 큰 역할. 성격발달에 중요한 방어기제
-모든 부모는 결함이 있고 아이의 경험이 다양하기 때문에 완벽한 동일시는 없음
-동일시는 무의식 과정이며, 그 동기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힘을 자기 것으로 하려는 소망
▶유형
-일반적 동일시
-적을 모방함 또는 금지된 대상과의 동일시
-공격자와 동일시
▶동일시 vs 내사
-동일시는 함입이나 내사보다 좀 더 선택적이고 세련됨
-자기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는 각각 별개로 온전히 남아있고, 서로 비교되고 대조
-내사는 외적 대상의 행동이나 태도, 기분이나 자세를 받아들이는 것을 시사함
이렇게 내사된 대상이나 부분 대상은 비교적 "신진대사작용을 거치지 않은"채 남음
-즉, 동일시는 대상 이미지의 가치 있게 여겨지는 특성을 자기 이미지로 귀속시키는 것
▶상담에서의 동일시
-초기: 상담의 가치관, 태도의 내사
-중기: 상담자에 대한 실망
-후기: 변별적 내사(동일시)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기제: 이상화와 평가절하 (0) | 2022.03.30 |
---|---|
심리적 기제: 분열 (0) | 2022.03.29 |
심리적 기제: 투사적 동일시 (0) | 2022.03.28 |
심리적 기제: 투사 (0) | 2022.03.28 |
심리적 기제: 통합과 분화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