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splitting)
▶통합의 반대현상
▶Good-Bad : 외부 세계나 자신을 '좋음'과 '나쁨'으로 분리하여 경험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가장 근본적 기준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이라는 개념은 원시적/ 감각적 능력에 의해 형성되는 개념. 이 능력을 통해 이 세상을 이해
-자극의 정도를 이해하기 전, 그것에 나의 생존에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평가
-내게 주는 정서적 반응이 첫 번째 기준
▶의식에서 경험 vs 배제
-유아가 대상이나 자신의 갈등적 혹은 이질적인 측면들을 양분하여 한번에 어느 한 측면만을 의식적인 차원에서 경험하고 다른 측면은 의식에서 배제하고자 하는 것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갈등': good-bad 중 무엇을 받아들일지 갈등
-프로이트의 '갈등' : 초자아와 이드 간의 갈등
▶아동은 어머니의 사랑받고 싶은 욕구와 어머니로부터 떨어져 나오고자 하는 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며 그 해결책으로 심리적으로 두 종류의 어머니를 가지게 됨
-허용하고 애정을 공급하는 것은 좋은 어머니/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제지하거나 애정을 거두어가는 것을 나쁜 어머니
-누구와 관계를 맺을 것인지에 관한 갈등
▶아동의 의식세계에서 어머니는 아직 온전한 대상(whole object)이 아니라 부분 대상(part object)으로 지각되고 경험
▶성숙을 위해 반대편을 이해하고 또 통합해야 하는데 아직 그렇지 못한 상태
▶분열은 대상에게 나타날 수도 있고 자기에게 나타날 수도 있음(이상화, 평가절하 등과 연결)
▶분열이 나타나는 시기
-공생단계에 그 발아가 발견/ 재 접근 단계 이전에 발현되지는 않음
-분열이 완전한 형태를 갖추는 것은 재 접근단계 동안 자기와 대상, 즐거움과 고통, 선과 악이 부분적으로 구분되는 시점
▶병리적 분열/ 일반적인 분열
-병리적인 분열: 초기발달 과정에서 유가가 경험하는 좌절 경험이 만성적이고 과도하다든지 혹은 지나치게 높은 불안 수준이 지속되는 경우, 자아의 통합 기능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상이나 자기의 다양한 특성들이 서로 통합되지 못하고 단편적인 상태로 남아있음
-일반적인 분열: 좋은 내부대상, 동일시하는 좋은 사람에 대한 충성심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동기화
연인관계와 가족에 대한 충성, 충실한 우정, 애국심, 이념에 대한 헌신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사회를 결속시키기도 하고 갈라놓기도 함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관계이론: 성장의 필요조건 (0) | 2022.03.30 |
---|---|
심리적 기제: 이상화와 평가절하 (0) | 2022.03.30 |
심리적 기제: 함입, 내사, 동일시 (0) | 2022.03.29 |
심리적 기제: 투사적 동일시 (0) | 2022.03.28 |
심리적 기제: 투사 (0) | 202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