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성격장애: 경계선적 성격장애

경계선적 성격장애

영화 속 김혜수는 경계선적 성격장애자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경계선 성격 장애 정의-DSM V

1) 실제적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함. (주의점: 5번 기준에 있는 자살이나 자해행위는 포함하지 않음)
2) 과대 이상화와 과소평가의 극단 사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하고 격렬한 대인관계의 양상
3) 주체성 장애: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4) 자신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는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경우에서의 충동성(예: 소비, 물질남용, 좀도둑질, 부주의한 운전, 과식 등) (주의점: 5번 기준에 있는 자살이나 자해행위는 포함하지 않음)
5) 반복적 자살행동, 제스처, 위협 혹은 자해행동
6) 현저한 기분의 반응성으로 인한 정동의 불안정(예: 일반적으로 수 시간 동안 지속되며 단지 드물게 수일간 지속되기도 하는 격렬한 삽화적 불쾌감, 과민성 불안)
7) 만성적인 공허감
8) 부적절하게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예: 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늘 화를 내거나, 자주 신체적 싸움을 함)
9) 일시적이고 스트레스와 연관된 피해적 사고 혹은 심한 해리 증상

 

경계선 성격 장애 유형

▶위축형

-만성적 우울함 및 순종적 태도

-억제되고 억압된 경향

-충동 및 타인에 대한 적개심을 자신의 내부로 돌림

 

▶충동형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관심을 요구

-충동적이며 대안을 고려하지 않음

-무책임하며 자신을 평가절하

-공허함과 소외됨을 느낌

 

▶분개형

-끊임없는 분노와 불평불만

-비판적이며 반항적 특징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는 욕구와 달아나려는 욕구의 이중적 태도

 

▶자벌형

-타인에의 굴복은 독립성/자율성의 훼손

-타인으로부터의 분리는 고립으로 자각

-표면적으로는 사교적 순응적

-분노, 적개심, 불만을 통제하고 억제하기 위해 내면적으로 부단히 노력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징과 역동

▶좋은 관계에 대한 안정된 대상 이미지 유지 어려움

 

▶실망할 때 전적으로 나쁘게 보임/ 그것이 자기도 나쁘게 만들까 봐 두려워 피해야 할 대상으로 보임

 

▶충동성

-전적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분열된 측면 사이를 오가고 안정된 이미지 유지 능력 결여 때문

 

▶분노

-조종의 실패와 좌절

-대상에 대한 그들의 사랑을 잊고 전적으로 나쁜 자기-대상 상태로 들어가는 경향 때문

 

▶정체성의 혼란

-미약한 대상항상성과 분열 때문

 

▶타인을 조종하여 자신의 감정을 바꾸려고 시도

 

▶혼자 있지 못하는 경향

-대상 항상성의 결여, 즉 그들이 가치 있는 존재임을 상기시켜주는 좋은 대상이 실제로 곁에 필요

 

▶자해

-칼로 몸에 상처를 냄으로써 긴장을 줄임

-신체적 경계의 확인

 

▶만성적 공허감

-좋은 자기와 좋은 대상을 떠올릴수 없음

-좋은 자기의 고갈

 

경계선 성격 장애 원인

 

다른 성격 장애와의 비교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