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상담의 전략과 기법

상담의 기본단계와 전략

▶Containing 욕구의 만족

▶개체의 대상관계 확인

▶불일치 대상관계 제공 즉, 항상적 대상 제공

▶개별화 촉진/ 자기(self) 확인/긍정적 대상관계 형성

 

관계와 기법 간의 관계

▶관계와 기법의 관계

-관계, 기법이 잘 구분 안될 것

-관계없는 기법/ 기법 없는 관계 무의미

 

▶상담자의 중립성 및 중립성 가정에 의해 도출된 기법에 대한 화의

-전이의 분석, 해석, 통찰 등

 

기법

▶Containing

-'담아주기', '담아내기'로 번역

-감정을 그대로 담아주는 반응

-우는 아이 달래는 엄마의 행동 속에 있는 원리

 

▶Holding

-'보듬기', '안아주기', '버티기'로 번역

-Containing과 유사, 좌절 역시 중요시

 

▶공감

Holding과 containing을 촉진

 

▶거리의 유지

-자기-타인의 경계선 상실 때 경험하는 두려움

-Fear of engulfment고려

-정신병적 장애: 자기의 상실은 파멸로 경험됨

 

▶명료화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는 것

 

▶직면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것: 내담자에게 자신의 한 측면을 마주 대하게 하는 것

-내담자와 상담자가 마주 대하는 것이 아님

-공격적 뉘앙스 조심: 거울의 비유

 

▶유형

-상담 구조 불이행에 대한 직면

-한계를 넘는 것에 대한 직면

-부정적인 전이에 대한 직면

-행동화에 대한 직면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의 병치

-외로움을 알아주는 (좋은) 상담자와 좀 전까지 자신을 이해하지 못했던 (나쁜) 상담자가 같은 사람임을 깨우침

-지금-여기의 상담자와 관계에서 대상관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

-자기에 대해서도 병치

 

▶투사적 동일시

-자기의 한 부분과 그에 대한 느낌을 대상의 것으로 돌린 후, 대상에게서 느껴지는 느낌을 통제하려고 시도하는 것

-다른 사람 속에서 자기를 통제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경계가 불분명할 때에 가능

-상담자에게 원하지 않는 감정을 일으킨 후, 상담자의 감정을 조종하려고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심리 내적 측면의 투사적 동일시나 인간관계 측면의 투사적 동일시는 동시에 발생

 

▶상담자의 긍정적 투사적 동일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 그리고 그 어디엔가는 활용할 수 있는 인간성이 잠재해있다는 신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Kernberg, 1977)

 

▶과장된 자기의 직면

-내담자 자기 존중감을 지지하면서 해야 함

-과정적 사고 중 적응적이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측면 탐색과 그런 삶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지적을 동시에 함

-의도와 행위의 분리

 

▶해석

과거 경험과 현재 경험을 연결시켜 반복성을 깨우치는 것이 효과적

 

▶역전이의 활용

-투사적 동일시와 역전이

-역전이를 감지한 상태에서 containing

 

상담자 반응의 Matrix

▶내담자의 유기체적 긍정성에 대한 신뢰

▶내담자의 예상과 다른 관계 경험

 

▶내담자의 자기 확인 경험

▶Good과 bad의 통합적 시각 제공

 

▶관계 욕구 적절한 좌절과 타당화

▶비'반응적', 비'방어적' 관계 경험(거울 되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