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 기본단계와 전략
▶Containing 욕구의 만족
▶개체의 대상관계 확인
▶불일치 대상관계 제공 즉, 항상적 대상 제공
▶개별화 촉진/ 자기(self) 확인/긍정적 대상관계 형성
관계와 기법 간의 관계
▶관계와 기법의 관계
-관계, 기법이 잘 구분 안될 것
-관계없는 기법/ 기법 없는 관계 무의미
▶상담자의 중립성 및 중립성 가정에 의해 도출된 기법에 대한 화의
-전이의 분석, 해석, 통찰 등
기법
▶Containing
-'담아주기', '담아내기'로 번역
-감정을 그대로 담아주는 반응
-우는 아이 달래는 엄마의 행동 속에 있는 원리
▶Holding
-'보듬기', '안아주기', '버티기'로 번역
-Containing과 유사, 좌절 역시 중요시
▶공감
Holding과 containing을 촉진
▶거리의 유지
-자기-타인의 경계선 상실 때 경험하는 두려움
-Fear of engulfment고려
-정신병적 장애: 자기의 상실은 파멸로 경험됨
▶명료화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는 것
▶직면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것: 내담자에게 자신의 한 측면을 마주 대하게 하는 것
-내담자와 상담자가 마주 대하는 것이 아님
-공격적 뉘앙스 조심: 거울의 비유
▶유형
-상담 구조 불이행에 대한 직면
-한계를 넘는 것에 대한 직면
-부정적인 전이에 대한 직면
-행동화에 대한 직면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의 병치
-외로움을 알아주는 (좋은) 상담자와 좀 전까지 자신을 이해하지 못했던 (나쁜) 상담자가 같은 사람임을 깨우침
-지금-여기의 상담자와 관계에서 대상관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
-자기에 대해서도 병치
▶투사적 동일시
-자기의 한 부분과 그에 대한 느낌을 대상의 것으로 돌린 후, 대상에게서 느껴지는 느낌을 통제하려고 시도하는 것
-다른 사람 속에서 자기를 통제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경계가 불분명할 때에 가능
-상담자에게 원하지 않는 감정을 일으킨 후, 상담자의 감정을 조종하려고 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심리 내적 측면의 투사적 동일시나 인간관계 측면의 투사적 동일시는 동시에 발생
▶상담자의 긍정적 투사적 동일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 그리고 그 어디엔가는 활용할 수 있는 인간성이 잠재해있다는 신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Kernberg, 1977)
▶과장된 자기의 직면
-내담자 자기 존중감을 지지하면서 해야 함
-과정적 사고 중 적응적이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측면 탐색과 그런 삶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지적을 동시에 함
-의도와 행위의 분리
▶해석
과거 경험과 현재 경험을 연결시켜 반복성을 깨우치는 것이 효과적
▶역전이의 활용
-투사적 동일시와 역전이
-역전이를 감지한 상태에서 containing
상담자 반응의 Matrix
▶내담자의 유기체적 긍정성에 대한 신뢰
▶내담자의 예상과 다른 관계 경험
▶내담자의 자기 확인 경험
▶Good과 bad의 통합적 시각 제공
▶관계 욕구 적절한 좌절과 타당화
▶비'반응적', 비'방어적' 관계 경험(거울 되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와 갈만한곳: 파크티이 (0) | 2022.04.02 |
---|---|
아기와 갈만한 곳: 러빗 워터 파티룸 (0) | 2022.04.02 |
대표적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 (0) | 2022.04.01 |
성격장애: 경계선적 성격장애 (0) | 2022.03.31 |
기념일 케이크: 어라운드케이크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