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매몰, 정신화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 경험에 대해

      경험에 매몰되거나 혹은 경험으로부터 방어적으로 해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되게 성찰하는 능력이

      우리 자신의 애착 안정성과 또한 우리가 안정적이 될 내담자를 양육할 능력 두 가지 다를 나타내 주는 표지임

 

  ■ '성찰적 혹은 '정신화적' 태도는 일관된 자기와 관련

 

  ■ 일관된 자기

    □ 모순으로 가득 찬 상태가 아니라 이해가 가능하고

 

    □ 해리와 부인에 의해 파편화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전체로 존재

 

    □ 타인의 자기와 협력할 수 있는 자기를 의미

 

□ 매몰

  ■ 경험이 지속되는 한, 마치 우리가 그 경험인 것 같음

 

  ■ 특정 순간에 지각하고 느끼며 믿는 것이 무엇이든 우리는 그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임

 

  ■ 현실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는 신체 감각과 느낌 및 정신적 표상은 하나의 정보가 아니라

      바로 현실 그 자체로 느껴짐

 

  ■ 우리가 갑자기 겁이 났을 때 두려움을 야기했다고 보이는 상황은-의심할 여지없이- 실제로 위험하다고 간주

 

  ■ 적응적일 때도 있음: 트럭이 돌진할 때

 

  ■ 매몰의 태도는 심리적 등가성의 방식과 유사

 

  ■ 내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경험과 외적 현실이 단순히 동등한 것으로 간주

 

  ■ 자신의 경험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할 의욕도 정신적 여지도 갖지 못함

 

  ■ 내면에서 느껴지는 것(격노, 공포)을 너무나 쉽게 외부에 투사

      그 과정에서 아주 위험한 어떤 세상에 대한 경험을 생성

 

    □ 예: 경계선 성격. 자신의 경험에 매몰된 성인 내담자. 느낌을 현실과 동등하게 경험. 그들 자신의 느낌이

            타인에게 투사될 때 마치 위협을 받는 것처럼 반응

 

 정신화

  ■ 특정 경험에 대해 다중적인 관점을 갖도록 하여 기존의 내적 작동 모델이 갱신되고 습관화된 양식이

      '탈 자동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줌

 

  ■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유연성을 위한 잠재력을 만들어 냄

 

  ■ 외양과 현실의 구분

    □ 현상은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다를 수 있음

 

  ■ 표상의 다양성

    □ 사람들은 같은 현실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음

 

  ■ 표상의 변화

    □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점은 시간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것

 

 마음 챙김

  ■ 바로 여기에, 바로 지금이 되는 것

 

  ■ 주어진 순간은 온전히 존재하고, 일어나는 모든 경험에 대해 수용적이지만 경험의 어떤 특정한 측면에

     사로잡히지 않을 수 있는 능력

 

  ■ 경험은 판단하거나 평가하지 않으면서 그것을 알아차리는 능력

 

  ■ 이점

    □ 어려운 감정 조절

 

    □ 스스로에게 부과한 괴로움 감소

 

    □ 삶의 도전에 능숙하게 적응

 

매몰에서 정신화로

  ■ 아동의 정신화 태도는 양육자의 민감한 반응성을 통해 형성

 

  ■ 내담자가 전달하는 것에 대해 상담자가 공감적으로 조율함으로써 가능

 

  ■ 어느 한쪽이 감정적으로 압도적인 어떤 경험과 우연히 마주칠 때까지 그들의 정신적 상태에 대해 상당히 

      일관되게 함께 성찰

 

  ■ 가장하기 양식

    □ 아동과 성인 모두 가장하기 양식이라고 부르는 것을 도피처럼 삼음

 

    □ 가장하기 양식에서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될 수 있음

 

    □안전 기지로서의 치료 관계와 더불어 내담자들에게 좀 더 자유롭게 상상하고 생각하며 느끼는 것이

        허용될 만큼의 자유와 안전성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