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대상관계이론의 역동

안녕하세요^^

대상관계 이론의 토대는 역동과 자기, 대상인데요

역동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대상관계 이론의 역동: 기본 욕구(바람과 소망), 두려움

 

역동: 기본욕구(바램과 소망)

무의식과 의식의 이해

-고전적 이해

무의식: 억압에 의해 숨겨진 정신적 역동

의식: 무의식의 내부에 숨겨지지 않은 내용

 

-현대적 이해

무의식: 진화를 통해 습득된 정신, 신체적 역동/ 몸이 먼저 반응/ 의식 외적 정보처리

의식: 언어, 사고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미분화된 경험을 분화시킨 것. 의식 상의 정보처리

 

무의식과 의식의 특성

 

-무의식: 매우 빠르고 자동적인 판단. 진화를 통해 습득하며 언어 이전의 상태

-의식: 무의식에 비해 느리고 의식적 판단, 학습을 통해 습득, 언어로 기술 가능한 상태

 

무의식의 의식화

 

-고전적 이해: 자유 연상, 꿈의 분석을 통해 드러냄

-현대적 이해: 자동적으로 처리되던 정보를 논리, 언어적으로 처리. 전두엽을 활용하기 시작

 

'반응'과 '의식적 결정'에 대한 이해

- 반응(reaction) : 의식적 정보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는 행위

- 의식적 결정: 의식적 정보처리를 통해 하게 되는 행위

- 반응의 예 : 신체적 위험상황에서의 즉각적 행위

                 방어기제

                 직면하기 싫은 경험, 느낌을 피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하는 행위패턴

                 특정 상황에서 경험하는 막연한 두려움

 

인간의 기본욕구

-욕구 vs 바람/소망은 의식 외적 vs 의식적과 같다

-관계 형성의 욕구

 무의식적 욕구(로렌츠의 관찰, 원숭이 실험)

 진화론 관점에서 생존을 촉구하는 욕구

-Frairbairn : "리비도는 대상을 추구하지 쾌락을 추구하지 않는다"

                욕구를 충족시켜줄 대상으로 향한다

 

역동: 두려움

 

인간의 근본적 두려움

 

-관계 상실 및 왜곡

-타인과의 관계 상실 및 왜곡

-자기와의 관계 상실 및 왜곡

 

두려움의 종류

-타인의 상실/ 타인으로부터의 거절

-자신의 상실/ 비어있는 자신에 대한 수치

상담자의 경우 '반응'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

 

두려움이 자각될 때의 반응

-매달림/ 타인이 필요 없는 것처럼 행동함

-과장된 자기애

상담자의 경우 죄책감을 없애기 위한 자기 비난 등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관계이론의 대상1  (0) 2022.03.24
대상관계이론에서의 자기, 자아, 대상의 의미  (0) 2022.03.23
대상관계이론의 뿌리와 배경  (0) 2022.03.22
상담의 주요 이론2  (0) 2022.03.22
상담의 주요이론1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