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 비언어적 언어 이해하기
■ 상담에서 말은
□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흐름 위에서 떠돈다
□ 말로 표현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 표현되는 정도의 깊이는 상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표면 아래에
º 흐르는 감정과 관계의 흐름에 의해 결정된다
■ 상담에서 비 언어적 언어
□ 표정, 음식, 자세, 몸짓, 말과 행동의 리듬, 개략적인 형태 등을 의미
□ '변연계 간의 대화'
□ 대화의 주제
유아의 내적 상태, 즉 감정과 의도( 감정과 의도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
□ 내적 상태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배우는 것
º 자신과 타인/ 자신의 감정과 의도/ 타인이 자신의 감정과 의도를 인식하고 맞추어 줄지 여부/
혼자 또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내적 상태에 영향을 주려는 시도가 '통할'지 여부 등
□ 상담자의 경험을 내담자에게 알려주면 그간 비언어적으로 소통되던 것이 언어로 표면화됨
º 상담자의 졸음 => 내담자가 자신도 졸렸다는 것을 알아차림 => 하지만 내담자는 그와 관련된 감정을
'사라지게 함'=> 심리적 철회 즉 '해리' => 이것은 내담자에게 익숙한 처리 방식
□ 치료적 성과
º 내담자가 이전에는 의식에서 배제해야 했던 것을 상담자-내담자 관계 안에 담을 수 있음
º 내담자에게 영향을 준 것은 말의 내용보다 관계하는 과정
□ 암묵적 지식은 항상 그 영향력이 엄청나게 크고 대체로 말로 표현하기 매우 어려움
□ 암묵적 지식을 형성한 언어 습득 이전의 경험이나 외상적 경험의 기원을 언어적으로 되돌려 내기는
불가능할지 모름
□ 그러나 명시적으로 기억해 낼 수 없는 것(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은 거의 항상 다른 방식으로 반드시 표출됨
□ 기능
º 언어화할 수 없는 것을 타인을 연루시켜 실연하거나 타인 안에서 불러일으키거나 구현하는 경향이 있음
º 실연, 불러일으키기, 그리고 구현은 내담자가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았고 -그리고 이 때문에 말할 수 없는-
어떤 것을 소통하는 주된 수단
º 따라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을 전달하는 이런 통로를 상담자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매몰, 정신화 (0) | 2022.04.27 |
---|---|
애착이론에서 임상실제로: 알고 있지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0) | 2022.04.26 |
애착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비언어적 경험 관련 연구 (0) | 2022.04.24 |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0) | 2022.04.23 |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정서조절과 애착전략 (0)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