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대상관계이론의 뿌리와 배경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면서 대상관계에 대한 관심도 많아져서 공부해보았어요

대상관계 이론의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정신분석이론의 변천 

@ 인간행동의 동기에 대한 관점

  생물학적 동기-> 관계 추구 동기

 

@ 인간행동의 추동

-  Freud는 창조성과 파괴성의 공존과 갈등의 결과로 봄

-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조화로운 삶에 대한 소망 추구 결과로 봄

 

@ 성격구조에 대한 관점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에서 경험의 흔적(표상, 내면화)

 

@ 주요관심 발달단계

 5세( 또는 청소년 )까지-> Pre-oedipal(3세)까지

 

Drive(Freud)

*기본욕구는 성욕과 공격성

*추동으로 인한 불안과 처리 문제가 발생한다고 봄

* 내적 갈등을 수습하기 위한 정신구조에서 방어기제가 나온다고 봄

 

Ego(A. Freud, Hartmann)

*기본 욕구는 (ego) defense, 환경 적응

*자아기능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감정을 처리하며 다른 사람을 대하는 방식으로 봄

*내적 충동, 정서, fantasy 관리능력, 적응능력, 외적 요구 대처능력의 개념과 발달과정에 초점

 

Objet

(Klein, Fairbairn, Winnicott 등 대상관계 이론가)

*기본 욕구는 관계 형성

*관계 상실 및 왜곡에 대한 두려움

*성격은 대상관계 및 내면적 표상을 내면화하여 형성된다고 봄

*Pre-oedipal stage에 관심

 

Self(Kohut)

자기 심리학

*기본 욕구는 건강한 자기애, Self의 타당화, 자기의 확인과 경험

*자기 상실에 대한 두려움

*성격은 반응적 자기애와 반응적 자기 확인

*경계선, authenticity, agent로서의 Self

 

대상관계 이론의 양면

*인간의 발달 과정 및 단계에 대한 가설로 기술적(descriptive) 성격이론

*인간의 발달 과정에 대한 각종 개념을 상담에 적용, 변화과정 및 기제에 대한 가설, 처방적(prescriptive) 성격

 

 

참고문헌: 김진숙,김창대(2007). 대상관계이론과 실제. 학지사.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관계이론에서의 자기, 자아, 대상의 의미  (0) 2022.03.23
대상관계이론의 역동  (0) 2022.03.23
상담의 주요 이론2  (0) 2022.03.22
상담의 주요이론1  (0) 2022.03.21
상담의 주요 기법들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