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애착이론의 기초: Bowlby

Bowlby와 Ainsworth의 관계

ºBowlby : 애착 이론의 아버지

 

ºAinsworth: 애착 이론의 어머니

 

ºRichard Bowlby(2004)

"Ainsworth가 없었다면 아버지는 그림자 같은 존재였을 것이고, (그러나) 아버지가 없었다면 Ainsworth는 별 볼일 없는 존재였을 것"

 

Bowlby: 근접과 보호 및 분리

▶Bowlby의 중요한 기여

º아이가 양육자에게 애착하는 행동이 생물학적 진화에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

 

º동기 체계로서 애착의 근본적 속성은 양육자와 물리적인 근접성을 유지하려는 유아의 절대적인 필요에 기초한 것

 

º애착은 단지 정서적 안전증진뿐 아니라 문자 그대로 유아의 생존을 확보하기 위한 것

 

▶애착 행동체계

º생존과 재생산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진화에 의해 고안된 것

 

º애착은 젖을 먹이고 짝짓기를 하는 것과 같이 인간 유전 프로그램의 한 요소

 

º평소에도 가동하지만, 위협과 불안정을 경험할 때 급속히 가동

 

▶애착 행동체계가 보이는 행동유형

  ▷애착 대상과 근접성 유지하기

 

º 보호해주는 애착 대상을 찾고 살피며 근접성 유지

 

º애착 대상을 부르고 그 대상에게 기어가는 행위는 모두 어린아이에게 생물학적으로 입력되어 있는 행동 유형의 일부

 

º근접성이 주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

 

  ▷애착 대상을 근접성 유지를 위한 대상으로 활용

 

º애착 대상은 특정인 또는 여러 명의 애착 대상으로 이루어진 작은 위계에 속한 한 사람

 

º보통은 친족(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음)

 

º아버지나 다른 양육자가 유아와 가장 밀접하게 관계하더라도 애착 위계의 맨 윗자리는 대체로 엄마

 

º아이가 엄마와 관계하는 정도가 적어도 일차적으로 엄마

 

  ▷애착 대상을 '안전 기지'로 활용

 

º유아가 엄마에게서 떨어져 세상을 탐험한 후, 다시 한번 탐험을 시작하기 전에 잠깐 동안 엄마에게 되돌아와 '재충전'하는 행동

 

º'탐험 행동체계'와 밀접한 관계

 

º애착 대상이 보호와 지지를 제공하는 안전 기지가 되어 준다면, 아이는 보통 자유롭게 탐험

 

º 그 반대로 애착 대상이 일시적으로 부재하면, 탐험은 중단

 

  ▷애착 대상에게 달려가기

 

º'안전한 피난처'인 애착대상에게 달려가기

 

º위협에 직면하면 안전을 얻기 위해 동굴 같은 장소를 찾는 것이 아니라 '더 강하거나 현명하다'라고 여겨지는 사람과 함께 하려고 함

 

º근접성 추구 촉발 자극

-생존에 대한 내적, 외적 위협

-'자연적 위험의 단서'

-엄마와의 실제 혹은 곧 일어날 것 같은 분리 등

 

▶Bowlby 관점의 발달

  ▷물리적 근접성 중시=> 상징적 근접성도 중시

 

º애착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양육자의 가용성에 대한 유아의 평가

 

º 현재 시점에서의 평가는 주로 유가가 과거 양육자의 가용성에 대해 어떤 경험을 했는가에 좌우

 

º애착 체계의 목표는 양육자와의 거리 조절이 아님: '안전의 느낌'

 

  ▷애착형성의 생물학적 욕구는 전 생애에 걸쳐 중요

 

º전 생애에 걸쳐 애착되어 있는 대사의 신체적, 정서적 행방, 즉 가용성과 반응성을 지속적으로 점검

 

  ▷안정 애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실생활의 사건

 

  ▷외상성 분리에 대한 아동의 반응

-항의

-절망

-거리두기

 

  ▷보편적으로 심리적 발달을 형성하는 것은

-분리와 상실의 외상보다

-부모와 유아 사이의 지속적이고 일상적 상호작용=> Mary Ainsworth의 연구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