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기의 여러 차원: 신체적 자기

자기의 여러 차원

    □ 자기

  •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내적 참조점
  •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삶을 경험하고 형성하는 부분
  • 영구적 패턴의 특정한 군집. 경험에 대해 개인이 보이는 반응의 독특성을 결정
  • 자기의 현재 특성은 과거사와 현재 맥락 둘다에 따라 다양할 것
  • 가장 영향력이 큰 과거사는 자기를 형성한 애착관계의 과거사일 것

     자기경험의 영역

  • 신체적 자기
  • 감정적 자기
  • 표상적 자기
  • 성찰적 자기
  • 마음 챙김의 자기

 

  ● 신체적 자기

○ 유아의 최초 경험은 몸에 남겨짐

 

Daniel Stern(1985)

   º '핵심자기'는 '자기-불편'의 초기 경험에서 발생

   º 자기-불편의 중심에는 유아 자신의 신체와 그 경계(피부)가 있음

 

Antonio Damasio(1999)

   º '신체의 구조와 작용의 불변성'은 자기 경험의 추축인 안정성을 제공함

 

Bowlby

   º 애착이론의 토대를 진화론적 생물학에서 찾음

   º 애착욕구의 뿌리를 신체를 보호하려는 욕구에 둠

   º 애착관계의 질은 생리적 측면인 신체적 자기가 경험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줌

     예: 안정된 엄마를 둔 유아는 회피형, 집착형, 미해결형 엄마를 둔 유아에 비해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이

         활성화되는 역치가 높음

 

자기에 대한 최초 감각의 근원은 애착관계의 질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는 신체적 경험에 있음

 

이런 경험은 최초 몇 개월, 몇 년간 자기를 형성하고 그 영향이 지속

 

신체적 경험은

   º 평생 몸에 기반을 두게 하고

   º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º 자기를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짐

 

반면 신체적 경험은

   º 부정, 해리, 왜곡될 수 있음

 

신체에 대한 내담자의 경험은

   º 근원적이고

   º 관계 맥락 안에서 발생

 

따라서 애착 중심 치료의 초점은 신체적 자기도 포함해야 함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