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애착과 자기의 발달

현대 상담이론

애착과 심리치료: 애착과 자기의 발달

□ 도가니

 ■ 자기는 아이가 경험하는 최초의 관계라는 도가니에서 형성

 초기 발달

 ■ '관계라는 도가니' 속에서 애착 대상의 유무에 따라 경험되는 정서 경험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움

 

 ■ 엄마는 자신의 유무로 인해 아이가 내적으로 경험하는 불편한 경험을 처리하도록 도움

 

 ■ 돕기 위해 엄마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애착 이론: 성찰(정신화, 마음 챙김)

    -대상관계 이론: 버티기, 담아내기, 거울 되기 등

(자연적) 후기 발달

 ■ 후기 발달의 경로는 초기 발달 시기에 아동이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던( 또는 배우지 못했던) 방식에 의해 좌우

 

 ■ 자연적 후기 발달 경로(즉 개입이 없을 때 발달 경로)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이 습관(틀)으로 정착

    -적응적: 자신의 소망을 이루는데 도움 되는 방법이 습관으로 정착

                또는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습관(틀)적 방법이 현실의 변화에 맞게 변화될 수 있을 정도로 유연

    -부적응적: 자신의 소망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지 않음에도 계속 습관(틀)으로 정착되어 반사적 행동을 야기

                  습관(틀)이 강하여 현실이 변화해도 바뀌지 않을 정도로 경직

                  심지어 부적응적(자신의 욕구에 반하는 방법) 임에도 지속

 

 ■ (자연적) 후기 발달의 특성

     -습관(틀)의 형성 후에는 주변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

     -습관(틀) 형성 후에는 경험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음

     -단순히 초기 경험과 반대되는 경험을 제공한다고 해서 이전 경험의 결과가 undo 되지 않음

 

 ■ 습관(틀) 형성 이후에는 undo가 어려운 이유

     -습관(틀) 형성 이후에는 경험을 액면가로 받아들이지 않고 경험을 자신의 틀로 '해석'하기 시작하기 때문

 

 후기 발달

 ■(회복적) 후기 발달(상담적 개입)

    -내담자는 상담실에서 자신의 관계 방식을 재현

    -그 결과 발생하는 정서적 씨름

    -상담실은 그러한 씨름을 하는 도가니

    -정서적 씨름에서 상담자가 취할 태도

      공감, 버티기, 담아내기, 성찰(정신화, 마음 챙김) 등

    -아동기 엄마와 했던 씨름과 내용은 약간 달라도 과정은 동일

      º 엄마와의 씨름: 자연적 발달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좌절을 중심으로 한 씨름

      º 상담자와의 씨름: 습관적 틀 때문에, 그리고 회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좌절을 중심으로 한 씨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