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의 여러 차원
□ 대뇌피질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자율 연합적, 불변의 표상, 위계적 구조
■ 자율연합적
º 부분이 전체를 촉발
º 부분만 보아도 전체를 상상 가능
■ 불변의 표상
º "당신이 지각하는 것의 대부분은 당신의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내적 기억 모델에 의해 생성되는 것"
º 표상이 없다면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유아가 경험하는 세계처럼 '엄청나게 윙윙거리는 혼란스러움'으로 남음
º 아래쪽 3층: 지금 여기에서의 감각적 정보
º 위쪽 3층: 기억을 토대로 한 예측
º 두 층을 결합시켜 우리의 주관적 경험 생성
º 장점: 이전 경험을 현재 경험에 적용하게 도움
º 단점: 기억에서 비롯된 예측이 새로운 경험을 압도
■ 배울 점
º 지각으로 간주하는 것이 항상 (다소간) 해석의 정도 문제
º 해석은 과거 경험에 뿌리를 둠
º "인간 심리의 많은 부분이 생애 초기 삶의 경험과 애착 그리고 양육의 결과에 바탕을 둠.
그 이유는 이때 뇌가 처음으로 세상에 대한 모델의 기초를 세우는 시기이기 때문"
■거울 뉴런 체계
º 다른 사람의 행동을 똑같이 흉내 내게 하는 체계
º 의도된 행동만이 거울 뉴런을 흥분
º 공명 반응
º 행동 그 자체에 대한 우리의 지각이 아니라 오히려 그 뒤에 어떤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에 대한 지각
º 행동 저변의 정신상태에 대한 반응으로도 흥분
º 공감, 정서 조율, 정신화 및 상호 주관성을 위한 신경학적 기반으로 간주
□ 통합과 뇌
■생애 초기 1년 동안의 건강한 애착관계는 좌뇌와 우뇌의 기능 및 변연계와 대뇌피질의 기능 발달과
통합에 필수적
■ 신경계의 가소성
º 뇌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경험에 의해 뇌가 재형성될 수 있음
º 치료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려면 반드시 원래 몸과 뇌, 마음의 발달을 촉진하는 그런 종류의 애착관계를
치료과정에서 다시 만들어 내야 함
□ 애착과 몸에 기반을 둔 마음과 마음이 깃든 몸 통합
■ Damasio(1994)
º 느낌은 몸 상태에 대한 마음의 해석
º 이성은 -그것이 진정으로 합리적이려면 - 몸에서 나오는 감정적인 신호에 기반해야 함
■ 몸에 기반을 둔 마음은 모든 사람에게 당연한 것이 아님
º 몸에 기반을 두지 않은 마음 상태(예: 회피형, 무시형)
º 마음이 없는 몸으로 살아가는 듯한 사람이 있음
(예: 몸이 지배, 신체화, 해리)
□ 다시 뇌로 돌아와서
■ 정보의 '교통량'은 하향식보다는 상향식(즉 편도체에서 대뇌피질로 가는) 양이 많음
º 상담에서 신체적 감각과 감정에 두는 상향식 접근 요구
º 말 외에 행동으로 드러나는 비언어적 차원에 초점
■ 대뇌피질에서 편도체로 가는 신경의 영향은 배외측 영역보다 중전 전두엽 영역에서 나옴
º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와 함께 힘든 감정에 대한 생각을 그저 소리 내어 말하는 작업은 어느 정도
유용할 수 있음. 충분하지 않음
º 내적 경험, 호흡을 포함한 경험에 집중하도록 하여 중전 전두엽 활성화 필요
º 경험에 압도되기보다 그것을 관찰하게 함
■ 하부 3개 층은 감각기관과 몸에서 오는 정보 처리. 상부 3개 층은 지금의 현실에 맞지 않을 수도 있는
'불편하는 표상들'로 저장된 기억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
º 불변하는 잘못된 표상들이 구속하는 힘을 느슨하게 하려면 내담자들이 지금-여기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함
■ 정신화가 전두엽 피질뿐 아니라 편도체도 활성화
º 내담자들이 실제로 정신화 능력을 발휘하려면 고통스러운 느낌을 실제로 느끼고 있는 동안 그 느낌을 다루어야 함
º 그렇지 않으면 유사 정신화만 발생
º 고통스러운 경험에 언어가 영향을 주도록 함으로써 그것이 신경계에 주는 충격 완화
º 힘든 감정의 '재평가'나 '재구성'은 편도체의 반응성 조절 가능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정서조절과 애착전략 (0) | 2022.04.22 |
---|---|
다양한 애착 경험 (0) | 2022.04.21 |
자기의 여러차원: 애착의 신경생리학, 뇌1 (0) | 2022.04.19 |
자기경험의 영역: 성찰적 자기, 마음 챙김의 자기 (0) | 2022.04.18 |
자기경험의 영역: 감정적 자기, 표상적 자기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