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애착관계의 자기형성 과정: 정서조절과 애착전략 애착관계의 자기 형성 과정 ■ 적응 전략 □ 의미: 애착 대상과 근접성을 유지함으로써 얻게 되는 보호를 확보하기 위해 유아들이 발달시키는 다양한 방법 □ 목표: 보호의 확보, 생존확률의 확보, 안정의 느낌 □ 방법: 스스로 안정감을 만들 수 없으므로, 감당하기 어려운 감정을 다루는 것을 도와줄 애착 대상이 필요 ■ 상담자의 역할 □ 사고측면: 내담자의 부모가 생각하지 못했게 했거나 금지시켰던 것들을 내담자가 생각하도록 허용해주는 것 □ 감정측면: 부모가 경험하지 못하게 했거나 금지시켰던 느낌들을 내담자가 경험하도록 허용해주는 것 □ 행동측면: 부모가 꾀하지 못하게 금지시켰던 행동들을 내담자가 고려해보도록 허용해주는 것 ■ 요약 □ 상담자의 역할은 통합을 촉진하고, 대체로 감정적인 발달에서부터 시작되는 건.. 더보기
다양한 애착 경험 다양한 애착 경험 ■ 최초 애착관계는 마음속 청사진의 원형을 제공 ■ 암묵적 실연적 표상의 수준, 즉 내적 작동 모델에서는 미디어가 곧 메시지다 ■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전달 가운데 부모로부터 조율된 반응을 이끌어내는 행동은 어떤 것이든 용인되고, 부모로부터 혐오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혹은 인식되지 않은 채 넘어가는) 행동은 배제된다 ■ 애착패턴의 안정성 º 12개월 때 낯선 상황 실험에서 분류되었던 안정 대 불안정 패턴이 성인기에 실시한 성인 애착 면접에 의한 분류와 68-75% 일치 º 그러나 이것은 큰 의미 없음 ■ 네 가지의 주요 마음 상태 º 안정된/ 자율적인 애착 º 회피형/ 무시형 애착 º 양가형/ 집착형 애착 º 혼란된/ 미해결형 애착 □ 안정된/ 자율적인 애착 ■ 특성 º 엄마 가까이 머.. 더보기
자기의 여러 차원: 애착과 신경생리학, 뇌 2 자기의 여러 차원 □ 대뇌피질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자율 연합적, 불변의 표상, 위계적 구조 ■ 자율연합적 º 부분이 전체를 촉발 º 부분만 보아도 전체를 상상 가능 ■ 불변의 표상 º "당신이 지각하는 것의 대부분은 당신의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내적 기억 모델에 의해 생성되는 것" º 표상이 없다면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유아가 경험하는 세계처럼 '엄청나게 윙윙거리는 혼란스러움'으로 남음 º 아래쪽 3층: 지금 여기에서의 감각적 정보 º 위쪽 3층: 기억을 토대로 한 예측 º 두 층을 결합시켜 우리의 주관적 경험 생성 º 장점: 이전 경험을 현재 경험에 적용하게 도움 º 단점: 기억에서 비롯된 예측이 새로운 경험을 압도 ■ 배울 점 º 지각으로 간주하는 것이 항상 (다소간) 해.. 더보기
자기의 여러차원: 애착의 신경생리학, 뇌1 자기의 여러 차원 □ 애착의 신경생리학 ■ 심리적 패턴은 신경 조직의 패턴 ■ 마음뿐 아니라 뇌도 애착관계 가는 도가니 속에서 발달 □ 애착과 경험 그리고 뇌 ■ Schore(2002): 초기 아동기의 심리적 발달(심리학적 차원)뿐 아니라 건강한 신경(생물학적 차원)의 발달도 애착 인물의 조율된 반응성에 의해 좌우 ■ 뇌의 발달 º 뇌는 신체 기관 중 가정 덜 분화된 부위 º '유전적으로 프로그램화된 신경계의 성숙'이 대인관계 경험에 의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좌우됨 º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경험은 애착관계의 맥락 안에서 발생 ■ '경험'의 저장 º '경험'으로 저장되는 것은 뇌 세포의 발사 패턴이나 활성화 패턴과 일치 º 발사 패턴은 뇌 안에서 시냅스 연결을 형성 º 시냅스 연결은 뇌의 구조와 기.. 더보기
자기경험의 영역: 성찰적 자기, 마음 챙김의 자기 자기 경험의 영역 ■ 신체적, 감정적, 표상적 차원 vs 성찰적, 마음 챙김 차원 □ 신체적, 감정적, 표상적 차원 모든 사람에게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이 접근 가능 □ 성찰적, 마음챙김 차원 ˙ 제한된 사람들만 접근 가능(잠재적으로 접근 가능) ˙ 살아가면서 당면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적응적인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대응하는 능력 길러줌 ˙ 통찰, 공감, 정서조절, 주체적 행위 능력에 대한 지각 등으로 가능 ˙ 심리적 자유로 통하는 길 ■ 성찰적 자기(정신화하는 자기) □ 우리의 주관적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 '정신적인 주체적 행위자' □ 주관적 경험에 의해 압도되거나 그것으로부터 차단되기보다, 그 경험과 함께할 수 있음 □ 성찰적 자기의 형성 ˙ 우리를 사랑해주고 .. 더보기
자기경험의 영역: 감정적 자기, 표상적 자기 자기 경험의 영역: 감정적 자기, 표상적 자기 ■ 감정적 자기 □ 가장 근원적이어서 근접성보다 더 근원적인 것은 안정감의 느낌 □ 어떻게 느끼는지는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감각의 중심에 있음 □ Bowlby(1988): 생애 초기 몇 년 동안 "우리가 가진 유일한 소통수단"은 정서적 교류 □ Daniel Stern(1985): "생애 초기에 정서는 의사소통의 주된 매체이고 또한 주된 주제" □ Schore(1994): "자기의 핵심은 정서조절 패턴에 있음" □ 자기 감각의 발달에서 감정적 반응이 근원적인 역할을 하는 이유 º Bowlby: "감정은...자신의 유기체적 상태나... 자신이 놓여 있는 일련의 환경적인 상황에 대한 개인의 직관적인 평가" º 감정은 행동을 추진, 특히 애착체계를 활성화함으로써 .. 더보기
자기의 여러 차원: 신체적 자기 자기의 여러 차원 □ 자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내적 참조점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삶을 경험하고 형성하는 부분 영구적 패턴의 특정한 군집. 경험에 대해 개인이 보이는 반응의 독특성을 결정 자기의 현재 특성은 과거사와 현재 맥락 둘다에 따라 다양할 것 가장 영향력이 큰 과거사는 자기를 형성한 애착관계의 과거사일 것 □ 자기경험의 영역 신체적 자기 감정적 자기 표상적 자기 성찰적 자기 마음 챙김의 자기 ● 신체적 자기 ○ 유아의 최초 경험은 몸에 남겨짐 ○ Daniel Stern(1985) º '핵심자기'는 '자기-불편'의 초기 경험에서 발생 º 자기-불편의 중심에는 유아 자신의 신체와 그 경계(피부)가 있음 ○ Antonio Damasio(1999) º '신체의 구조와 작용의 불변성'은 자기 경험의 추축인.. 더보기
애착과 자기의 발달 현대 상담이론 애착과 심리치료: 애착과 자기의 발달 □ 도가니 ■ 자기는 아이가 경험하는 최초의 관계라는 도가니에서 형성 □ 초기 발달 ■ '관계라는 도가니' 속에서 애착 대상의 유무에 따라 경험되는 정서 경험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움 ■ 엄마는 자신의 유무로 인해 아이가 내적으로 경험하는 불편한 경험을 처리하도록 도움 ■ 돕기 위해 엄마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애착 이론: 성찰(정신화, 마음 챙김) -대상관계 이론: 버티기, 담아내기, 거울 되기 등 □ (자연적) 후기 발달 ■ 후기 발달의 경로는 초기 발달 시기에 아동이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던( 또는 배우지 못했던) 방식에 의해 좌우 ■ 자연적 후기 발달 경로(즉 개입이 없을 때 발달 경로) -어려운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이 습관(틀)으로.. 더보기